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14

접이식 보면대 - 2만원 이하 참고로 저가형 모델은 몇년 안가 고정쇠 부분이 부서져 나가는 경험이 있었음 호루스벤누 - 4천원 - 요 가격대는 한 두철 쓰고 버린다는 생각으로 사야. http://www.enuri.com/detail.jsp?modelno=21400033&cate=16430709&IsDeliverySum=N - 일반적인 중국산 심로 보면대 - 7천원 http://www.enuri.com/detail.jsp?modelno=14167802&cate=16430709&IsDeliverySum=NSMS-20 ㅇ 평이 괜찮음 ㅇ 구형 모델(AT-20) 의 경우 1.1KG 사진 : http://www.wooriakki.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671ㅇ 중국산 영창 1.1만 (1.2만 무배) - .. 2019. 4. 7.
노트북 접지 방법 (찌릿찌릿, 오디오 노이즈 제거) - USB 단자 중 안쓰는 단자 활용 노트북 접지 방법 요새 나오는 많은 노트북은 어댑터 자체에 접지 단자가 없다. 접지가 안되면 노트북에서 미세하게 지리릿 전기 흐르는 느낌이 나고, 손을 댈때 강한 정전기가 오르기도 하며 이어폰에서 웅~ 하는 저주파 노이즈가 들리기도 한다. 어댑터 자체에 접지단자가 없으니 노트북 자체에서 선을 빼서 접지해주는 방법이 있다. 마침 집에 안쓰는 USB-C 케이블이 있고 노트북의 USB-C단자도 놀고 있어서 이를 활용해 보었다. 그리고 지금 있는 책상 옆에 세면대가 있어서 거기 있는 수도관을 사용하였다. 하얀 케이블이다. 위와 같이 그냥 USB 케이블 밖에 선을 감아주었다. 선은 예전에 쓰던 아답터 연장선을 양끝을 자르고 벗겨내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위와 같이 파이프에 감아주었다. 가스관에 연결한다면 가스관의.. 2019. 2. 22.
지역별(시군구) 개신교 비율 (2015) | 지도 지역별(기초자치단체/시군구) 개신교 비율을 지도에 표시해보았습니다. ㅇ 가장 높은 곳 : 강화군 32.4%ㅇ 가장 낮은 곳 : 창녕군 7.4%ㅇ 전국 기준 19.7%ㅇ 자료 : 인구총조사 2015 ㅇ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대화형 지도로 확대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sgis.kostat.go.kr/view/map/interactiveMap/sharedata?id=FnxwnGKpL920190215154954148uHxxIwEoJr(통계청에서 지역별 종교 다운로드 후 가공하여 SGIS 사이트에 업로드함) 2019. 2. 15.
클래식 기타줄의 종류, 장력 재질고음줄은 나일론 등, 저음줄 나일론 중심선에 일반적으로 copper (구리) 선이 감겨있다. 딱딱한 금속이 감겨있을 수록 밝은 소리를 낸다. 겉의 금속선은 다양한 재질이 나온다. 특징통기타와 같은 쇠줄보다 음량은 작지만 비브라토는 더 용이하고 서스테인이 좋다. 역사나일론 줄 개발 이전엔 이전엔 gut(창자)나 실크가 사용되었다. 아직도 이런 줄이 나오긴 한다. La Bella 411 Antique Gut Trebles / Silverwound Basses, the Pyramid Authentic Gut, and the Pyramid Gut Trebles / Silk Basses. 장력통기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장력이 나온다. .028-.043 이 주된 장력. 메이커아마존에 보면 다다리오께 많이 팔림 .. 2019. 1. 2.
소니 오픈형 이어폰 MDR-E9LP 사용기/리뷰 (비추) 인터넷 상품평도 괜찮고 소니이름도 있고 문구점에서 만원주고 샀는데 대실망인터넷 보니 역시 5천원. 이것도 5천원짜리 소리인데 5천원도 아깝다.저음 없다시피. 약간 먹먹. 귀에 착 꽃히지 않고 약간 얹혀있는 느낌.절대 절대 음악감상용은 아님. 어이없는게 꽂고 걸으면 줄의 움직임에 따라 안의 울림막 비닐이 움직이는 찌직 찌직 소리가 남 -_-;;;절대 사지 마세요 ㅋ 걍 허접 마데인 시장표 이어폰 수준.. 줄도 완전 싼티.. 걍 다시 아이폰 번들 이어팟으로 고고 2018. 9. 20.
블루스킨 오픈형 이어폰 BS-100M 사용기 / 리뷰 (비추) 급한김에 모닝글로리에서 8천원인가 주고 샀다. 사면서도 좀 불안하긴 했다. 인터넷 보니까 5천원인데 딱 5천원 짜리 소리. 음악감상용은 아니다. 먹먹. 베이스 x. 고음 x. 이어팟형태인데 이어팟보다 귀가 아프다. 줄하나만큼은 이어팟보다 낫다 ㅋㅋ 잘풀려서 블루스킨 스마트폰이어폰/BS-100M/오픈에어타입/통화 2018. 9. 20.
뉴스 기간별(시기별) 검색하기 / 트렌드 - BIGkinds 이용 * 옛날엔 다음 뉴스에서 시기별 트렌드 그래프를 볼 수 있었는데 이제 그 기능이 없어졌다. https://www.bigkinds.or.kr 여기에서 회원가입 필요. 나라에서 운영. (한국언론진흥재단 : 문체부 산하 공공기관) 1. 키워드 검색시 상세검색에서 원하는 기간을 설정해줌 2. 검색후 아래에서 시각화 검색 클릭 3. 트렌드 기간을 선택 4. 양도세 키워드로 1년간 일간 트렌드 검색 결과 5. 그래프 위에 커서를 올리면 해당 날짜의 기사 수가 뜬다. 클릭하면 해당 날짜 기사로 이동(새창이 뜬다) 6. 기타 자세한 옵션은 상세검색에서 추가설정 가능. 이 이외에도 해당 사이트는 다양한 분석 기능 제공. 해당 사이트 매뉴얼 참고바람. 2018. 9. 10.
원노트 텍스트 붙여넣기 (ctrl+v) 안되는 경우 종료한 후 다시 해보면 되는 경우가 있음 2018. 9. 6.
고체형광펜 리뷰 (사용기) - 동아 vs 스테들러 vs 모나미 동아 제트스틱 JET Stick VS 스테들러 텍스트서퍼 젤 Steadler Textsurfer gel vs 모나미 에센티 스틱 소프트 동아는 납작형, 스테들러는 둥근형. 장단점이 있는데 큰차이 없다. 비슷.뚜껑은 동아는 뒤에 껴지긴 하는데 넘 헐거워서 잘 빠짐. 큰 의미 없음. 스테들러는 뒤에 안껴짐. 아쉬움. 껴지면 좋은데. 왜 안껴지게 만들었지? 몸통이 동그래서 굴러다님. 뚜껑운 모나미가 제일 좋음. 뒤에 안정적으로 잘 끼워짐. 스테들러 단점은 심을 많이 빼면 뚜껑이 안껴짐. 동아와 스테들러 발색은 비슷함 . 둘다 진하고 부드럽게 써짐. 동아가 더 진득(찐득?)한 느낌. 그러나 결정적으로!동아는 똥이 많이 나움 ㅜㅜ 이게 나중에 책을 덮으면 책장 간 붙는 결과를 초래함..그래서 스테들러를 사봤음. .. 2018.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