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란
네트워크란 두 대 이상의 컴퓨터 및 기타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네트워크는 다양한 규모와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됩니다. 네트워크의 주요 개념과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개념
- 노드(Node):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장치를 노드라고 합니다. 노드는 컴퓨터, 서버, 프린터, 라우터, 스위치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합니다.
- 링크(Link): 노드 간의 연결을 링크라고 합니다. 링크는 유선(케이블) 또는 무선(Wi-Fi)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 프로토콜(Protocol):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규칙과 절차를 정의한 표준입니다.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TCP/IP, HTTP, FTP 등이 있습니다.
2. 네트워크의 종류
- LAN (Local Area Network): 좁은 지역 내에서 컴퓨터와 장치를 연결한 네트워크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학교 등에서 사용됩니다.
- WAN (Wide Area Network): 광범위한 지역을 커버하는 네트워크로, 여러 도시나 국가를 연결합니다. 인터넷은 가장 대표적인 WAN입니다.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로, 여러 LAN을 연결하여 대도시 지역을 커버합니다.
- PAN (Personal Area Network): 개인 영역의 네트워크로, 블루투스나 USB를 통해 장치를 연결합니다.
3. 네트워크 토폴로지
- 버스 토폴로지(Bus Topology): 모든 노드가 단일 케이블에 연결되는 형태입니다.
-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중앙 허브에 모든 노드가 연결되는 형태입니다.
- 링 토폴로지(Ring Topology): 각 노드가 두 개의 다른 노드와 연결되어 고리 모양을 이루는 형태입니다.
- 메시 토폴로지(Mesh Topology): 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4. 네트워크 장치
- 라우터(Router):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달하고 경로를 설정하는 장치입니다.
- 스위치(Switch):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각 장치로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 허브(Hub): 스위치와 유사하지만, 데이터를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장치입니다.
- 방화벽(Firewall):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을 필터링하고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5. 네트워크 기능
- 파일 공유: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 프린터 공유: 네트워크에 연결된 프린터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통신: 이메일, 메신저, 화상회의 등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네트워크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과 자원 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데이터 통신의 역사와 원리
데이터 통신의 역사
1. 초기 발전 (1960년대 이전)
- 전신과 전화: 데이터 통신의 초기 형태로 전신과 전화가 사용되었습니다. 전신은 전기 신호를 통해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이며, 전화는 음성을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 샤논과 위버의 정보 이론: 1948년 클로드 샤논은 "정보 이론"을 제안하여 데이터 통신의 수학적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오류율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클로드 샤논의 정보 이론
1. 정보의 정의
정보(Information): 샤논은 정보를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으로 정의했습니다. 즉, 정보는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정도에 따라 측정됩니다.
2. 엔트로피(Entropy)
엔트로피: 정보의 양을 측정하는 척도로, 불확실성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엔트로피는 메시지가 얼마나 예측 불가능한지를 나타내며, 단위는 비트(bit)입니다. H(X)=−∑p(x)logp(x)H(X) = -\sum p(x) \log p(x)H(X)=−∑p(x)logp(x) 여기서 H(X)H(X)H(X)는 랜덤 변수 XXX의 엔트로피, p(x)p(x)p(x)는 XXX가 특정 값 xxx를 가질 확률입니다.
3. 채널 용량(Channel Capacity)
채널 용량: 주어진 통신 채널을 통해 최대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의미합니다. 채널 용량은 잡음이 있는 채널에서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에 따라 달라집니다. C=Blog2(1+SN)C = B \log_2 (1 + \frac{S}{N})C=Blog2(1+NS) 여기서 CCC는 채널 용량, BBB는 채널 대역폭, SSS는 신호의 평균 전력, NNN는 잡음의 평균 전력입니다.
4. 코딩 이론(Coding Theory)
소스 코딩(Source Coding):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샤논은 최적의 압축률을 나타내는 샤논 한계(Shannon Limit)를 도입했습니다.채널 코딩(Channel Coding): 오류 검출 및 교정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5. 잡음과 신호
잡음(Noise): 데이터 전송 중 신호에 추가되는 불필요한 정보나 방해 요소입니다. 샤논은 잡음이 있는 채널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 신호와 잡음의 비율로, 신호의 강도를 잡음과 비교하여 나타냅니다. 높은 SNR은 더 나은 통신 품질을 의미합니다.
샤논의 정보 이론의 영향
ㅇ 디지털 통신의 발전: 샤논의 이론은 디지털 통신의 기초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과 오류 검출 및 교정 방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ㅇ 데이터 압축 기술: 샤논의 소스 코딩 이론은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는 오늘날 JPEG, MP3 등의 압축 기술에 응용되었습니다.
ㅇ 네트워크 설계: 정보 이론은 네트워크 설계와 분석에 중요한 도구를 제공하였으며, 인터넷과 같은 복잡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암호학: 정보 이론은 암호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여 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ㅇ 샤논의 정보 이론은 데이터 통신, 네트워킹, 암호학, 데이터 압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정보 사회의 핵심 기초 이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2. ARPANET과 패킷 교환 (1960년대-1970년대)
- ARPANET: 1969년 미국 국방부의 ARPA가 ARPANET을 구축하여 패킷 교환 방식의 네트워크를 실험했습니다. 이는 오늘날 인터넷의 전신입니다.
- 패킷 교환: 패킷 교환은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어 최종 목적지에서 다시 조립됩니다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은 데이터 통신에서 혁신적인 방식으로, 네트워크 효율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기술입니다. 패킷 교환이 등장하기 전에는 주로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패킷 교환의 의미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개념: 패킷 교환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합니다.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어 목적지에서 다시 조립됩니다.
경로 설정: 각 패킷은 최적의 경로를 통해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네트워크 혼잡 상황에 따라 다른 경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효율성: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오류 처리: 패킷 손실 시 재전송 요청을 통해 데이터를 완벽하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패킷 교환 등장 이전의 방식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개념: 회선 교환 방식에서는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통신 경로를 설정합니다. 이 경로는 통신이 끝날 때까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경로 설정: 통신을 시작할 때 두 지점 간의 물리적인 경로가 설정되며, 이 경로는 통신이 끝날 때까지 독점적으로 사용됩니다.
비효율성: 경로가 설정된 동안 다른 사용자는 해당 경로를 사용할 수 없어 네트워크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됩니다.대표적 예: 초기 전화 시스템이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전화 통화를 시작할 때 두 전화기 사이에 물리적인 연결이 설정되고, 통화가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습니다.
비교 및 장단점
회선 교환의 장점과 단점
장점:고정된 경로로 인해 일정한 전송 속도와 지연 시간 보장.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적합 (예: 음성 통화).
단점:자원 비효율성: 사용자가 통신하지 않는 동안에도 경로가 차지됨.
확장성 부족: 많은 사용자가 동시 접속할 경우 경로 부족 문제 발생.
패킷 교환의 장점과 단점
장점:자원 효율성: 네트워크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여러 사용자가 공유 가능.
유연성: 패킷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송되어 네트워크 혼잡을 피할 수 있음.
오류 복구: 패킷 손실 시 재전송을 통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음.
단점:데이터 전송 지연 가능성: 패킷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되므로 지연 발생 가능.
실시간 통신의 복잡성: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어 실시간 통신에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
패킷 교환의 역사적 맥락
ARPANET: 1960년대 후반, 미국 국방부의 ARPA 프로젝트로 ARPANET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최초의 대규모 네트워크였습니다.
로렌츠 클라인록: 1961년 클라인록이 패킷 교환의 이론적 기초를 세운 논문을 발표하면서 패킷 교환의 개념이 구체화되었습니다.
프레임 릴레이, ATM: 패킷 교환 기술은 이후 프레임 릴레이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며 네트워크 효율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패킷 교환은 데이터 통신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오늘날의 인터넷과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이는 특히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전송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현대 정보 통신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았습니다.
3. TCP/IP 프로토콜의 개발 (1970년대-1980년대)
- TCP/IP 프로토콜: 1970년대 후반, TCP/IP 프로토콜이 개발되었습니다. 이는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이 되었으며, 다양한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 이더넷: 1973년, Xerox PARC의 Robert Metcalfe가 이더넷을 개발하여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표준이 되었습니다.
4. 인터넷의 발전 (1990년대-2000년대)
- 월드 와이드 웹(WWW): 1990년대 초, 팀 버너스 리가 WWW를 개발하여 인터넷의 사용을 크게 확산시켰습니다. 이는 HTTP 프로토콜과 HTML 언어를 기반으로 합니다.
- 광대역 인터넷: 1990년대 후반, 광대역 인터넷이 도입되어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했습니다.
5. 현대 데이터 통신 (2010년대-현재)
- 모바일 통신과 5G: 2010년대에는 4G LTE 및 5G 네트워크가 도입되어 모바일 데이터 통신의 속도와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의 발전으로 데이터 통신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클라우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통신의 원리
1. 기본 구성 요소
- 송신기: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입니다.
- 수신기: 데이터를 받는 장치입니다.
- 전송 매체: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로, 유선(케이블) 또는 무선(Wi-Fi) 매체가 사용됩니다.
2. 데이터 전송 방식
- 아날로그 전송: 연속적인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전화 시스템이 대표적입니다.
- 디지털 전송: 이산적인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3. 프로토콜
-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 규칙과 절차를 정의하는 표준입니다.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TCP/IP, HTTP, FTP 등이 있습니다.
4. 데이터 전송 과정
- 인코딩과 디코딩: 송신기는 데이터를 전송 매체에 적합한 신호로 인코딩하고, 수신기는 이를 다시 원래 데이터로 디코딩합니다.
- 패킷화: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합니다.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수신 측에서 재조립됩니다.
- 라우팅: 데이터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통해 목적지로 전달되도록 경로를 결정합니다.
5. 오류 검출과 교정
- 오류 검출: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체크섬, 패리티 비트 등이 사용됩니다.
- 오류 교정: 검출된 오류를 교정하여 올바른 데이터를 복원합니다. 해밍 코드, 리드-솔로몬 코드 등이 사용됩니다.
데이터 통신은 이러한 기본 원리와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의 인터넷과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의 근간이 됩니다.
데이터 통신의 초기 역사
1. 전신과 초기 통신 시스템
- 전신(Telegraph): 1837년, 사무엘 모스가 전신기를 발명하면서 전기적 신호를 통해 긴 거리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전신은 데이터 통신의 초기 형태로,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모스 부호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전화(Telephone): 1876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전화기를 발명하여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전화는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최초의 장치였습니다.
전화 통신의 발전
- 전화 교환기: 초기 전화 시스템에서는 수동 교환기를 사용해 연결을 설정했지만, 1891년 알몬 스트로저가 자동 전화 교환기를 발명하면서 전화 연결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수동 전화 교환기는 전화 통화의 연결을 사람이 직접 설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했습니다.
수동 전화 교환기의 원리
1. 전화 사용자와 교환원
- 전화 사용자: 각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기(전화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요청합니다. 전화기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로 구성되어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음성으로 변환하여 전달합니다.
- 교환원: 수동 교환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 바로 교환원입니다. 교환원은 각 전화기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통화를 설정합니다.
2. 통화 요청 과정
- 발신자: 전화를 걸고자 하는 사용자가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어올리면, 전화기 회로가 교환기로 연결되어 신호(벨 소리)를 보냅니다.
- 교환원 응답: 교환원은 해당 신호를 받고 응답합니다. 교환원은 발신자의 요청을 듣고, 통화하려는 상대방의 번호를 묻습니다.
3. 연결 설정 과정
- 패치 코드 사용: 교환원은 패치 코드(연결선)를 사용하여 발신자의 전화 회선과 수신자의 전화 회선을 연결합니다. 패치 보드에는 여러 개의 잭이 있으며, 각 잭은 특정 전화 사용자와 연결됩니다.
- 물리적 연결: 교환원은 발신자의 잭에 패치 코드를 꽂고, 다른 쪽 끝을 수신자의 잭에 꽂습니다. 이를 통해 두 전화 회선이 물리적으로 연결됩니다.
- 통화 알림: 수신자의 전화기에는 벨이 울리며, 수신자가 수화기를 들어올리면 통화가 시작됩니다.
4. 통화 종료
- 통화 완료: 통화가 끝나면 양쪽 사용자는 수화기를 내려놓습니다.
- 연결 해제: 교환원은 패치 코드를 제거하여 두 회선 간의 연결을 해제합니다. 이제 회선은 다른 통화 요청을 처리할 준비가 됩니다.
- 이때는 말그대로 수동연결.
수동 교환기의 구성 요소
- 패치 보드: 교환원이 패치 코드를 사용하여 전화 회선을 연결하는 보드입니다. 여러 개의 잭이 있으며, 각 잭은 개별 전화 회선과 연결됩니다.
- 패치 코드: 두 전화 회선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케이블입니다.
- 신호 벨: 발신자가 통화를 요청할 때 교환원에게 신호를 보내는 장치입니다.
- 헤드셋: 교환원이 발신자와 통화하며, 필요한 정보를 듣고 응답하는 장치입니다.
수동 교환기의 역사적 맥락
- 발명: 1878년,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최초의 수동 전화 교환기가 설치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전화 사용자들이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 진화: 초기 수동 교환기는 점차 발전하여 더 많은 회선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도시와 지역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 자동 교환기로의 전환: 1891년, 알몬 스트로저가 자동 전화 교환기를 발명하면서 수동 교환기는 점차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자동 교환기는 사용자가 직접 다이얼을 돌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과 연결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수동 전화 교환기는 초기 전화 통신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화 통화의 개념을 널리 보급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사람의 개입을 통해 통화를 설정했지만, 이후 기술 발전을 통해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진화하게 되었습니다.
자동 전화 교환기의 원리
1. 다이얼링 (Dialing)
- 전화기 다이얼: 초기 자동 교환기에서 사용자는 회전식 다이얼을 사용하여 전화를 걸었습니다. 다이얼은 숫자에 따라 회전하며, 각 숫자는 특정 수의 펄스 신호를 생성합니다.
- 펄스 신호: 다이얼을 돌리면 각 숫자에 해당하는 횟수만큼 전기적 펄스 신호가 교환기로 전송됩니다. 예를 들어, 숫자 '3'을 다이얼하면 세 번의 펄스 신호가 발생합니다.
2. 스텝 바이 스텝 스위칭 (Step-by-Step Switching)
- Strowger 스위치: 알몬 스트로저가 발명한 스텝 바이 스텝 스위치는 초기 자동 전화 교환기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이 스위치는 사용자의 다이얼 신호를 따라 단계별로 동작하여 원하는 전화 회선으로 연결합니다.
- 다이렉터 스위치: 각 다이얼 펄스는 스위치를 한 단계씩 움직여, 원하는 번호에 해당하는 회선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됩니다. 수평 및 수직 스위치를 사용하여 각 펄스를 처리합니다.
https://youtu.be/wcFpaI1Y_SE?si=9ESN8HyCUODrMgKZ
3. 번호 매칭 (Number Matching)
- 전기 기계식 릴레이: 자동 교환기는 전기 기계식 릴레이를 사용하여 각 전화번호의 펄스 신호를 매칭하고, 해당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회선을 연결합니다. 각 릴레이는 특정 번호와 대응하여 작동합니다.
- 교환기 내부 경로 설정: 다이얼링이 완료되면 교환기 내부에서 전기적 경로가 설정되어 발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합니다.
4. 연결 설정 및 통화
- 벨 신호: 연결이 설정되면 교환기는 수신자의 전화기에 벨 신호를 보냅니다. 수신자가 수화기를 들면 회선이 연결되고 통화가 시작됩니다.
- 통화 유지: 통화가 진행되는 동안 교환기는 해당 회선을 유지하며, 다른 사용자의 접속을 방지합니다.
5. 통화 종료
- 수화기 내려놓기: 통화가 끝나면 양쪽 사용자 모두 수화기를 내려놓습니다.
- 연결 해제: 교환기는 자동으로 연결을 해제하고, 회선을 초기 상태로 복구하여 다음 통화를 준비합니다.
스위칭 기술의 발전
1. 전자 스위칭 (Electronic Switching)
원리
전자 스위칭은 릴레이와 같은 전기 기계적 장치 대신 전자 회로를 사용하여 전화 회선을 연결하고 통화를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 소자가 사용됩니다.
발전 과정
- 트랜지스터의 발명: 1947년 벨 연구소에서 트랜지스터가 발명되면서 전자 스위칭 기술의 기초가 마련되었습니다. 트랜지스터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고 스위칭하는 데 사용됩니다.
- 전자 교환기: 1960년대에는 전자 교환기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트랜지스터와 집적 회로(IC)를 사용하여 회선 연결을 처리합니다. 이 교환기는 더 빠르고 신뢰성이 높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주요 특징
- 속도: 전기 기계식 릴레이보다 훨씬 빠른 전환 속도를 제공합니다.
- 신뢰성: 움직이는 부품이 없기 때문에 고장률이 낮고 유지보수가 적게 필요합니다.
- 용량: 더 많은 회선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 스위칭 (Digital Switching)
원리
디지털 스위칭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디지털 신호는 0과 1로 표현되며, 이는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발전 과정
- PCM (Pulse Code Modulation): 1937년 알렉스 리브스가 개발한 PCM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디지털 스위칭의 기초 기술입니다.
- 디지털 교환기: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에 걸쳐 디지털 교환기가 개발되었습니다. 디지털 교환기는 PCM 기술을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디지털 회선 스위칭을 통해 통화를 설정합니다.
주요 특징
- 품질: 디지털 신호는 잡음에 강하고, 통화 품질이 높습니다.
- 다중화: 여러 디지털 신호를 하나의 회선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여 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이 가능합니다.
- 통합 서비스: 음성, 데이터,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전자 및 디지털 스위칭의 중요성
- 효율성 향상: 더 많은 통화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유지보수 간소화: 전자 회로와 디지털 기술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였습니다.
- 서비스 통합: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와 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의 통합이 가능해졌습니다.
- 인터넷 및 데이터 통신 발전: 디지털 스위칭 기술은 인터넷 및 데이터 통신의 발전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는 현대 정보화 사회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참고자료 >
ChatGTP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과 아마존의 역사 (0) | 2024.07.08 |
---|---|
데이터 통신 기술의 원리와 역사, 미래 (0) | 2024.07.08 |
인터넷의 역사와 원리 (0) | 2024.07.08 |
TCP/IP 란? (0) | 2024.07.07 |
게이트웨이란? Gateway (0) | 2024.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