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5G와 건강 (작성중)

visualy 2022. 1. 25. 18:41

 

그러나 WHO의 산하기구 국제암연구소(IARC)는 무선 통신을 비롯한 모든 전자파가 "암 유발 가능(possibly carcinogenic)"하다고 명시했다. https://www.bbc.com/korean/news-48986019  
국제암연구소는 전자파에 "인체에 암을 유발할 수 있을 만한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유럽연합에 5G 통신망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하는 과학자와 의사 단체도 있다.

이 그림은 위 그림과 좌우가 바뀐 것이다.

주파수별로 위험한 주파수가 물론 이다. - 엑스레이, 감마선, 자외선 등...

그리고 전자레인지에서 사용하는 전파도 물론 위험하다.

주파수(진동수)가 높아질수록 강도가 강해진다.

 

5G 스펙트럼의 일부는 마이크로파 대역에 속한다.

 

마이크로파는 사물을 지나며 열을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다.


===========

무선 방사선 및 EMF 과학자 마틴 폴 박사

 "5G의 출시는 완전히 미친 짓이다."라고 말했다.

 

https://youtu.be/kBsUWbUB6PE

 

 

 

 

휴대폰 5G와 와이파이5G와의 차이점

두개는 다르다.

G가 다르다. 휴대폰은 5th Generation. 5세대라는 뜻이고

무선랜 5G는 주파수 영역대가 5Ghz라는 것이다.

무선랜은 2.4GHz와 5GHz 두 영역대를 사용한다. 물론 두 대역은 장단점이 있다. 낮은 주파수인 2.4가 파장은 더 길기 때문에(파장과 주파수는 반비례 관계) 더 넓은 영역을 커버, 더 잘 투과한다.

=====

28Ghz도 사용하나보다.

3.5GHz와 28GHz를 사용하는 듯.

그 밖에도 13GHz나 15GHz 여러 대역을 사용하는 듯.

 

아래와 같은 기존 대역(최고 2.6GHz)와 비교할 시 5G는 엄청 높은 대역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역이 올라갈수록 에너지강도는 더욱 세진다.

 

5세대 이동통신은 광범위한 고주파 대역을 쓰고있다.

 

95GHz이상도 사용한다.

 

 

 

전자기파는 우리의 DNA를 손상시킬 수 있다.

https://blog.naver.com/sekiho007/221570246168  (영상)

 

이것은 군대에서 군중의 해산을 위한 능동 거부형 시스템(Active Denial Systems)과 같은 비살상무기에 사용하는 주파수와 정확히 동일하다.

 

한편, 2 ~ 120GHz의 고주파 전자기장에 대한 곤충의 연구는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18-222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