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사카 분해 방법에 대해
예를 들면 남성과 여성의 임금격차에 대해서
남자가 학력이 좋고 경력이 많아서 생기는 격차인가(인적 자원 등에 기인하는) 아니면 모든 조건이(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인적자원이) 동일한데 단지 여자라는 이유 때문에 적은 월급을 받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 답을 해줄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
옥사카 분해는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두 집단 간의 종속변수의 차이를 독립변수가 설명하는 비율(인적 자본에 의한 차이)와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차이(단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받는 차별)로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유있는 차이가 몇%이고 이유없이 진짜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아니면 남자라는 이유만으로 아니면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아니면 장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아니면 B라는 지역에 산다는 이유 만으로 받는(발생하는) 차별(차이)가 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럼 좀 더 분해방법의 실제로 좀 더 들어가서...
옥사카 분해의 3가지 가정
1. 개별 집단의 임금함수를 최소자승법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독립변수가 임금인 경우다)
2. 임금함수는 선형이다.
3. (이해안감)
먼저 각 집단별 회귀계수를 도출한다.
그리고 옥사카 분해를 한다.
먼저 집단간 격차가 유의미해야 하고.
기준 집단을 정해서 2개 이상의 여러 집단을 볼 수도 있다.
두 집단간 임금격차가 유의미하다 하더라도 설명된 부분과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또 각각 유의미해야 한다.
아래와 같은 경우 일본인은 밑에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왔다. 그래서 45.1%라는 숫자도 의미가 없게 된다.